[서울] 선문수경
9 videos • 194 views • by 보리마을 자비선 명상원 저자 : 백파 긍선 / 번역 : 신규탁 / 출판 : 동국대학교출판부 / 발행 : 2012.09.25. / 구매가 : 10,800원 【온라인 구매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 【책 소개】 백파 긍선의 '선문수경'은 송대宋代 이후 공안公案을 염롱拈弄하던 선문종사禪門宗師들의 염拈?송頌?거擧?평評과 찬讚?화話?창唱?화和 등을 판석判釋한 책이다. 백파 자신 이미 그의 나이 50대에 '선문염송집사기禪門拈頌集私記'와 '선문오종강요사기禪門五宗綱要私記'를 손수 지었고, 고려의 진각 국사 혜심慧諶의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 구곡 각운龜谷覺雲의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등 방대한 자료들을 섭렵하여 선문禪文을 판석한 결과물이 '선문수경'이다. 백파는 임제삼구臨濟三句에 제시된 의미의 행상行相을 좌표로 삼아 선문禪文을 판석하였다. 즉, 본분本分과 신훈新熏, 수연隨緣과 불변不變, 진공眞空과 묘유妙有, 대기大機와 대용大用, 가리사家裏事와 도중사途中事, 죽임(殺)과 살려줌(活), 긴 세월(古)과 이 순간(今) 등을 ‘논리’로 삼아 선문禪文을 비추어 보는 손거울을 만든 것이다. 【목차】 한글본 한국불교전시를 펴내며 백파비白坡碑 선문수경禪文手鏡 해제 일러두기 1. 임제삼구臨濟三句를 그림으로 설명 2. 향상向上하는 본분本分의 진여眞如 3. 향하向下하는 신훈新薰 삼종선三種禪 4. 의리선義理禪 3구 게송 5. 3구를 도표로 표시 6. 의리선義理禪과 격외선格外禪의 구별 7. 말후구末後句와 최초구最初句의 구별 8. 신훈新薰과 본분本分의 구별 9. 죽임(殺)과 살려줌(?)의 구별 10. 원상설圓相設 11. 3성설三性設 12. 3구와 1구가 짝을 이루는 다섯 가지 경우가 다름 13. '한 화살로 세 관문을 격파'하는 다섯 가지 경우 14. 『금강경』4구게에 배당 15. 삼신三身을 세 가지 경우에 배당 16. 오분법신五分法身에 배당 17. 사홍서원四弘誓願에 배당 18. 좌선과 선정 등 네 글자에 배당 19. 문자를 세우지 않고 사람의 마을을 곧바로 가리켜 본성을 보아 성불한다는 달마 대사의 말씀 20. 달마의 삼처전심三處傳心 21. 선실禪室에서 하는 삼배에 대하여 22. 간당看堂틀을 열 번 치는 것에 대하여 23. 훽 24. 『구자무불성화간병론拘子無彿性話揀病論』의 과목을 나누고 해석 25. 선과 교의 핵심은 '진공'과 '묘유',' '완전한 기틀'과 '완전한 작용'을 벗어나지 않음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